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5학년 다각형의 둘레와 넓이

by 레오7 2025. 10. 3.

안녕하세요. 오늘은 5학년 과정에서 꼭 알아두어야 할 다각형의 둘레와 넓이를 차근차근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특히 자주 나오는 직사각형, 정사각형, 사다리꼴, 평행사변형, 마름모를 중심으로 개념–공식–예시–실수 주의점까지 한 번에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겠습니다.

 

1. 기본 준비: 둘레와 넓이는 무엇이 다를까요?

둘레
도형의 바깥 테두리 길이를 모두 더한 값입니다.
단위는 cm, m처럼 길이 단위를 씁니다.
예) 운동장 가장자리에 울타리를 두르려면 필요한 줄 길이가 둘레입니다.

 

넓이
도형이 차지하는 공간의 크기입니다.
단위는 cm², m²처럼 제곱 단위를 씁니다.
예) 잔디를 깔거나 페인트를 칠하려면 필요한 면적이 넓이입니다.

 

2. 핵심 구분

둘레는 “길이”, 넓이는 “면적”.
단위를 끝까지 확인하면 실수를 줄일 수 있습니다.

계산을 잘하려면? 4단계 문제 풀이 루틴

  1. 도형을 크게, 반듯하게 그립니다. (문제에 그림이 있으면 밑변·높이·평행인 변에 색을 칠해 표시)
  2. 무엇을 묻는지를 동그라미로 표시합니다. (둘레? 넓이?)
  3. 필요한 값(밑변, 높이, 평행한 두 변의 길이 등)에 밑줄을 긋고 공식을 고릅니다.
  4. 단위까지 정확히 적고, 마지막에 말로 확인합니다.

예) “둘레니까 cm, 넓이는 cm²!”

 

3. 직사각형

3-1. 특징

서로 마주 보는 두 변이 평행이고, 모든 각이 직각(90°)입니다.

가로 길이를 가로
세로 길이를 세로라고 부릅니다.

3-2. 공식

둘레: P=2×(가로+세로)

넓이: A=가로 X 세로

 

직사각형의 넓이

3-3. 쉬운 예제

<가로 8cm, 세로 5cm인 직사각형>

둘레 =2×(8+5)=26 cm

넓이 =8×5=40 ㎠

3-4. 실수 포인트

둘레에서 가로×세로를 하는 실수 금지! (그건 넓이입니다)

단위: 둘레는 cm, 넓이는 cm².

 

4. 정사각형

4-1. 특징

  • 네 변의 길이가 모두 같고, 모든 각이 직각인 특별한 직사각형입니다.
  • 한 변의 길이를 a라고 합시다.

4-2. 공식

둘레: P=4a

넓이: (한 변 × 한 변)

 

정사각형의 넓이

4-3. 쉬운 예제

<한 변이 6cm인 정사각형>

둘레 :4×6=24 cm

넓이: 6×6=36 ㎠

4-4. 실수 포인트

정사각형도 직사각형 공식이 통한다는 점을 기억하면 응용문제에 강해집니다.
(예: 넓이 = 가로×세로, 여기서는 가로=세로=a이므로 a×a)

 

5. 평행사변형

5-1. 특징

서로 마주 보는 두 쌍의 변이 평행합니다.

각은 기울어져 있을 수 있지만, 밑변에 수직으로 내린 높이를 이용해 넓이를 구합니다.

5-2. 공식

둘레: P=2×(밑변+옆변)
(마주 보는 변끼리는 서로 길이가 같습니다.)

넓이: A=밑변×높이
→ 중요: 높이는 밑변에 ‘수직(ㄱ자)’으로 내린 길이입니다. 기울어진 변의 길이가 아닙니다.

평행사변형 넓이

5-3. 쉬운 예제

<밑변 10cm, 옆변 7cm, 높이 4cm인 평행사변형>

둘레 : 2×(10+7)=34 cm

넓이 :10×4=40 ㎠

5-4. 실수 포인트

  • 기울어진 변 길이 = 높이로 착각하지 않기!
  • 넓이는 밑변×높이만 기억해도 절반은 성공입니다.

 

6. 사다리꼴


6-1. 특징

한 쌍의 변만 서로 평행인 사각형입니다.

평행한 두 변을 윗변(아랫변) 혹은 밑변1·밑변2라고 부릅니다.

높이는 두 평행한 변 사이의 수직 거리입니다.

6-2. 공식

둘레: P=윗변+아랫변+나머지두변

넓이: A=(윗변+아랫변)/2×높이
​→ 두 밑변의 평균 길이에 높이를 곱한다고 기억하면 더 쉽습니다.

사다리꼴의 넓이

6-3. 쉬운 예제

<윗변 8cm, 아랫변 12cm, 높이 6cm, 옆변 두 개가 각각 5cm인 사다리꼴>

둘레 =8+12+5+5=30 cm

넓이 = (8+12) × 6 ÷ 2 = 60 ㎠

6-4. 실수 포인트

  • 넓이에서 (윗변+아랫변)×높이 후 반드시 2로 나누기!
  • 높이는 평행한 두 변 사이의 수직선임을 잊지 않기.

 

7. 마름모

7-1. 특징

  • 네 변의 길이가 모두 같은 사각형입니다. 각은 기울어져 있을 수 있습니다.
  • 평행사변형의 한 종류이므로 넓이는 밑변×높이로도 구할 수 있습니다.
  • 또 하나의 특별한 공식: 대각선 길이를 이용해 넓이를 구할 수 있습니다.

7-2. 공식

둘레:  P = 4a ( a는 한 변의 길이)

넓이 : 한대각선의길이 x 다른 대각선의 길이 , 밑변 X 높이 

마름모의 넓이

7-3. 쉬운 예제

<예제 A: 한 변 7cm, 높이 5cm>

둘레 : 4×7=28 cm

넓이 : 7x5 = 35 ㎠

 

예제 B : 대각선의 길이 7 cm , 8 cm

넓이 : 7 X 8 ÷ 2 = 28 ㎠

7-4. 실수 포인트

  • 대각선 공식은 마름모에서만(또는 연습한 특정 도형) 쓰는 특별 공식입니다.
  • 평행사변형에는 대각선 공식이 없습니다.(혼동 주의)

 

8. 모양이 섞인 문제(도형 분할·합치기) 요령

실제 문제에서는 도형을 잘라서 직사각형 두 개로 나누거나, 붙여서 큰 직사각형으로 바꾸어 넓이를 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분할: 사다리꼴을 직사각형+삼각형으로 나누면, 각각의 넓이를 구해 더합니다.
  • 합치기: ㄱ자 모양 도형을 두 개의 직사각형으로 나누어 넓이를 더합니다.
  • 둘레는 분할·합치기와 상관없이 겉 테두리만 따라가며 더하면 됩니다.
    (안쪽에 겹쳐진 선은 둘레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9. 생활 속 적용 예시

둘레

담장, 울타리, 방 테두리 걸레받이, 포스터 가장자리 테이프 길이

 

넓이

잔디·타일·장판·벽지 면적, 스티커·종이·상자 옆면 칠하기

 

※ 이처럼 둘레는 ‘두르는 것’, 넓이는 ‘덮는 것’이라고 기억하면 생활 문제도 쉽게 풀 수 있습니다.

 

10. 자주 하는 실수 체크리스트

  • 사다리꼴 넓이에 ÷2를 빼먹지 않았나요?둘레와 넓이를 헷갈리지 않았나요?(둘레=길이, 넓이=면적)
  • 문제에서 필요한 값만 골라 썼나요? (불필요한 숫자에 속지 않기)
  • 평행사변형·마름모에서 높이는 수직으로 재었나요?
  • 넓이 문제에서 단위를 cm²로 썼나요?

 

11. 마무리 한 줄 요약

  • 둘레는 테두리 길이(길이 단위), 넓이는 덮는 크기(제곱 단위)입니다.
  • 도형마다 공식을 확실히 외우고, 높이의 의미(밑변에 수직)를 정확히 이해하면 어떤 문제도 자신 있게 풀 수 있습니다.
  • 연습할 때는 그림 표시 → 공식 선택 → 단위 확인의 루틴을 꼭 지켜 보시기 바랍니다.